여성주의 활동가 학교 Think Action School ! 여성운동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여성문제를 해결하는 운동이자, 자기실천운동입니다. 단순히 현장의 경험만을 가지고서 여성들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문제들을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데 한계가 뒤따르기에 다양한 여성이론과 문제들을 배우는 여성주의학교를 통해 여성활동가들의 정체성을 높여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. ○ 일시 : 2010년 6월 ~ 9월(총 6회/ 매월 1회~2회) ○ 장소 : 전북대학교 사회대 강의실 316호 (1~2강) 및 어울림 문화공간 (3~6강) ○ 대상 : 총 30여명(각 단체 활동가 1~2명) 여성운동, 행복의 날개를 달자 ! 세부 프로그램 일정 / 강의 제목 및 내용 / 시간 주제 내용 강사소개 ① <가족을 넘어선 페미니즘> -1 한국 여성운동안의 가족문제의 관계를 집어보고, 변화되는 가족 안에서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, 가족문제에 대한 여성운동의 이슈 찾아본다. 강사- 김혜경 (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) 6월 24일 (목) 4시 ~ 5시 30분 전북대학교 사회대 316강의실 ② <가족을 넘어선 페미니즘> - 2 평등한 가족부부관계에 기초한 민주적 가족이 여성운동의 대안이었다면, 다양한 가족의 이야기가 존재하는 가운데 여성운동의 고민과 대안은 무엇일까 ? 강사- 김혜경 (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) 7월 8일 (목) 4시~5시 30분 전북대학교 사회대 316강의실 ③ <민족주의와여성> 남성중심으로 채색된 가부장제와 민족주의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? : 한국사회의 담론 지배방식' 가부장제와 민족주의'를 파헤쳐 본다. 강사 - 정현백 (성균관대 사학과 교수)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/ 민족과 페미니즘, 여성사다시쓰기 저자 7월 22일 (목) 4시~5시 30분 어울림문화공간 (풍남동) ④ <젠더, 섹스, 섹스얼리티, 여성주의 인식론 > 섹스와 젠더 그리고 섹슈얼리티에 숨겨진 담론과 위계를 찾아라 : 성적자기결정권이라는 개념을 통해 한국 사회의 젠더 불균형의 문제를 알아본다. 강사 - 임옥희 (전남대 NGO협력과정 교수)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운영위원장/ 주디스 버틀러 읽기-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저자 8월 12일 (목) 4시~5시 30분 어울림문화공간 (풍남동) ⑤ <세계화와 노동, 여성정책> 경제와 정치적 세계화로 인한 여성의 미래는 ? : 여성의 관점에서 세계화를 바라보고, 세계화 속의 실질적인 성 평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본다 강사 박명선 (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) 9월 9일 (목) 4시~5시 30분 어울림문화공간 (풍남동) ⑥ <지역 여성운동 속의 나> : 여성운동을 하는 나에 대한 솔직한 자기 드러내기, 변화하기, 꿈꾸기 강사 박영숙 (전북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) 9월 30일 (목)4시~5시 30분 어울림문화공간 (풍남동) 완전출석과 가장 많은 활동가가 참여한 단체에겐 단체와 개인 활동가에게 선물과 수료증 증정 |